OSPF (5) 썸네일형 리스트형 CCNA LAB 75 Review 1. 라우터1,2 정적 라우팅 설정 2. 가상 논리 터널 인터페이스 설정 터널 인터페이스에 IP 설정 해주고실질직언 통신은 실제 물리 인터페이스로 진행된다 동일하게 설정 후 PING 통신 진행 PING 통신 완료 3. OSPF 설정 Enterprise B 1. CHAP 인증 상대 라우터 유저명과 비밀번호 등록 후 CHAP 인증 진행 CHAP 요청 시 등록된 유저명과 비밀번호 일치 확인 후 일치 시 통신 가능 확인 완료 EIGRP 라우팅 등록 시 이웃 간 숫자 일치 필요EGIRP 네트워크가 없는 s0/0/0 경우 passive -interface로 지정 라우터 4에도 동일 설정 진행 광고 통해 서로 다른 네트워크 라우팅 테이블에서 확인 가능 3. BGP 65000 등록 .. CCNA LAB 056 OSPF Troubleshooting 라우터 1에 라우터 2 ID만 확인 가능하며 라우터 4 확인 되지 않는다 라우터 4도 등록해준다 프로토콜로는 확인 가능하다 라우터 1 루프백 주소 1.1.1.1. 라우티 테이블에서 확인 되지 않는다 라우터 1로 돌아간다 1.1.1.1 네트워크 대역 확인 가능 라우터 4 확인 시 ospf neighbor 미등록 상태 G0/0이 passive 상태이다 변경 필요하다 광고할 이웃이 없었다 이웃이 생겼다 라우터 2로 가보자 다운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시킨다 여전히 이웃이 없다 라우팅 테이블에도 확인 되지 않는다 주인공인 라우터 3로 가보자 라우터 2 네트워크 대역 확인 되지 않으며 area ID 가 다르다는 syslog 확인된다 10.23.0.0. 대역이 area 2로 잘못 설.. CCNA LAB 55 OSPF Multi-area 멀티 지역인 경우, backbone이 있어야하며, area 0으로 설정해야한다 백본과 연결되어도 되고, 아닌 경우에는 경유 링크 통해서 연결해주면 서로 통신 가능하다 루르백 인터페이스를 passive로 ,bandwidth 디폴트를 1000으로 변경한다 라우터 1은 싱글 area이기에 지름길 방법으로 모든 인터페이스와 모든 네트워크 대역 광고 설정 라우터 2는 백본 지역으로 두 가지 이상의 멀티 area이기에 해당 네트워크 대역 설정루프백 네트워크도 설정해준다 라우터 3도 라우터 2와 마찬가지 라우터 4는 single area로 지름길로 설정 10.0.0.0. 네트워크 대역 총 3가지 확인 된다라우터 3에 요약해주면은 직접 연결된 10.35.0.0. 대역 말고 나머지 10.0.0.0 대역.. CCNA LAB 054 OSPF Single Area 라우팅 프로토콜은 동적과 정적으로 구분되며, 동적 프로토콜도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거리 벡터 알고리즘 과 링크 상태 알고리즘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분류된다. 그 중 링크 상태 알고리즘은 Djiskstra이용하느 OSPF 실습을 진행하기로 한다. OSPF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네트워크가 하나인 경우와 2 개 이상의 경우다 먼저 네트워크가 하나인 경우부터 살펴 보겠다 먼저 라우터ID 확인 후 루프백을 등록해주어야한다서로 인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설정이며, OSPF 설정 후 진행 시, 리셋 후에만 등록 가능하다 Neighbor Table : 이웃 라우터의 리스트Link-State Database Table : 네트워크 토폴로지 (LSA 패킷으로 구축)Routing Table : DDP를 .. OSPF OSPF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 Distance Vector 와Link State 프로토콜 중"Link State" 프로토콜 link state 즉, 연결된 링크 상태가 중요하다 인터넷에서 연결된 링크의 상태를 파악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다는것이다. Classless 라우팅 프로토콜 (VLSM, CIDR 지원)Protocol Number - 89AD - 110224.0.0.5 (DR이 DROTHER에게 전송할 때 사용)224.0.0.6 (DROTHER가 DR에게 전송할 때 사용)DR /Back-up DR ( 반장 /부반장 ) OSPF에서는 반드시 Backbone Area 0가 존재만약 영역이 하나라면 어느 숫자를 사용해도 무관하다. 하지만 영역이 2개 이상이라면 무조건 백본인 AREA 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