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엔지니어 (232)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눅스 서버 행, 단어 , 문자 수 확인[root@localhost home]# wc test //1 7 36 test[root@localhost home]# wc -l test ///1test [root@localhost home]# wc -w test ///7test [root@localhost home]# wc -c test연속된 문자= 한 단어로 인식 [root@localhost home]# ps -aux | wc -l 257 /// 현재 진행 중 프로세스 cat f* > file7[root@localhost dir1]# cp -b file2 file3 // 백업 후 CPrw-r--r--. 1 root root 5 1월 16 09:10 file3-rw-r--r--. 1 root root 2 1월 16 09:0.. 리눅스 서버 디스크 관리 [디스크 관리]HDD 장착 : 60 GB nvme파티션 분리fdisk [옵션][장치명]fdisk /dev/nvme0n2 // nvme0의 넘버 2번째 디스크[옵션]-l : 장치명 확인-p: 장치 테이블 확인-t: 타입 변경-d: 파티션 삭제첫번째 섹터에서 디폴트 아닌 6GB 설정 시 2048-6GB 사용 불가2048~ 최종 숫자까지 사용 가능 = 1개의 파티션Last sector에서 용량 설정 시 파티션 분할 가능 3. 파일 시스템 생성 // 포맷mkfs.xfs /dev/nvme0n2p1mkfs.xfs [장치명]4. 마운트 /// 주변 장비 연결mount [장치명] [ 마운트 포인트 ][수동]/dev/nvme0n2p1[한칸] /home/hdd 마운트할 디렉터리 경로[root@localhost /]# .. 리눅스 서버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관리] 1. 프로세스 확인 // 현재 상태 확인ps /// [해당 PID ] [식별자] [터미널] [경로] [누적 시간]ps [옵션]-a : terminal 관련 모든 프로세스 출력-au : 실행한 user 포함 터미널 관련 프로세스 출력-x : 터미널 미관련 사항 포함 프로세스 출력 [root@localhost ~]# ps -aux | grep httpd pstree [옵션]트리 구조로 실행-p : 프로세스 식별자 (PID) 확인 가능pstree -p | less top [옵션] 실시간 프로세스 상태 출력 2초우선값 nice값 확인 가능 2. 실행모드foreground 실행 : 무대 앞 / 화면으로 출력되면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실행할때는 프로그램)background 실행 : 무대 뒤 / 화.. Inter-vlan 1. PC IP 설정 172.16.10.2 255.255.255.0172.16.10.1 2. 각 스위치 설정1) vlan 10,20,30 생성2) 해당포트와 VLAN 할당 int fa0/1 switchport mode accessswitchport access vlan 10,20,303) 스위치간 트렁킹 연결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switchport mode trunk 3. L3 스위치 설정interface Vlan10ip address 172.16.10.1 255.255.255.0!interface Vlan20ip address 172.16.20.1 255.255.255.0!interface Vlan30ip address 172.16.30.1 255.25.. CCNA Static NAT NAT란, Network Address Translation으로 사설 IP에서 공인 IP로 변환해주는 프로토콜이다IP 주소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면서, 효율적 관리와 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사람과 장비가 많아지면서, IP 또한 많이 필요해졌지만, 공급할 수 있는 IPv4 개수는 정해져있다.그렇다고 동시에 80억명이 접속하는 것도 아니기에 필요할 때만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이다 크게 3가지 방법이 있다 StaticDynamicPAT 오늘은 Static을 실습하려고 한다 각 사설IP에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는 각각의 공인IP를 하나씩 지정해주는 방법이다. 외부에서 내부IP 주소를 모르기에 보안성 강화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호스트에서 SRV1까지는 패킷을 전달가능하지만, SRV1 입장에서.. CCNA LAB DHCP / DNS DHCP - 자동으로 IP할당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PC1은 자동적으로 IP가 할당되었지만, 쓰레기 IP 주소이다.DHCP 서버 설정을 통해서 사용가능한 IP를 할당하도록 하자 라우터 2 인터페이스에 IP 자동할당 받는 방법 Relay Agent로 등록하는 방법 DNS, Domain name System으로 숫자로만 이루어진 IP주소가 아닌 사람에게 기억하기 쉬운 이름으로 변환해주는 프로토콜이다. 라우터 1를 DHCP 서버로 설정한다 설정 대로 IP가 자동설정되었다. DNS 서버 주소를 설정하지 않았기에, DNS로 통신 되지 않는다 바로 DNS 서버 주소를 설정하면은 DNS 서버 주소가 설정되어서, 도메인에 대한 Ping을 하면 IP주소로 변환되어 해당 주소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240225 TCP프로토콜 흐름제어 방식 = sliding windowTFTP =UDP FTP = TCPIGMP 비대칭 프로토콜 / TTL 참조 / 질의 메시지 / 오류보고 / 반향 회답메시지 지원PON = FTTH모든 가입자 동일한 광신호 수신 방송형 성격상향 트래픽 TDMA 방식 사용 충돌 방지채널부호화 = Convolutional Code 돌림형 부호로 일정 길이의 블록 단위로 이루어지는 통신의 채널 부호화에서, 각 블록에서의 부호화가 해당 블록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블록에도 동일한 선형 관계식으로 의존하는 부호이다. 이에 비해 오류 정정이 해당 블록에만 의존하고 다른 블록과는 아무 관계가 없는 것은 블록 부호/etc/shadow : 사용자 암호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Free = 메모리의 전체적인 현황 확인 .. 네트워크관리사 2급 23.02.26 기출 A class 0.0.0.0 - 127.255.255.255B Class 128 - 191C Class 192 - 223D Class 224- 239E Class 240 - 255 arp include 10.100.95.200 = arp process IP -> MAC 주소 확인 프로토콜 응용계층 프로토콜 중에 전송계층의 프로토콜 TCP, UDP를 모두 사용하는 프로토콜-DNS // 숫자로만 구성된 IP 주소를 기억하기 어렵기에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는 프로토콜DNS 쿼리 및 응답 메시지는 TCP 또는 UDP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된다대부분의 DNS 쿼리는 UDP를 사용하지만, 쿼리나 응답 메시지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TCP를 사용한다. SNMPUDP 계열 프로토콜로, 원격 관리..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