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3요소
- 통신장비
- 매체(연결선)
- 동선 : 전화선
- 동축케이블 : 방송 광대역 송수신
- 광섬유케이블 : 유리섬유→ 플라스틱섬유(내부 유리코팅)
- 프로토콜
- 서로 다른 네트워크와 프로토콜 효율적 통신 위한 동일한 규칙 ( HW SW)
- 프로토콜 변환기 필요 → 현재 미사용
- 데이터 포맷과 전송 정의
- 네트워크 프로토콜
- 인터넷 환경 TCP/IP
- LAN 구성 프로토콜 : Ethernet, Token Ring, FDDI, 무선
- WAN 구성 프로토콜 : SLIP, HDLC, PPP, Frame-RelayLAN의 경우, LAN 프로토콜만 사용 가능하기에 WAN 이 될 수없다물리적 랜이 없으면 가상 랜은 없다
- Physical LAN (실제적) / Logical LAN (가상적) 인간이냐 좀비냐 귀신이냐
- WAN의 경우, 프로토콜에 따라서 WAN LAN 이 될 수도 있다
- information VS data
- 사용자 입장 : information 정보통신 비트의 모음집
- 네트워크 입장 : data = 비트단위 데이터 통신 (대칭 구조)
- LAN VS MAN VS WAN
- LAN (지역) Local Area Network : 라우터 안 네트워크
- MAN(도시) Metro Area Network
- WAN(광역) Wide Area Network : L3 switch / 라우터 밖 네트워크
- Internet : LAN 과 WAN 연결된 네트워크
- 회선 종단장치 DSU/CSU : CCTV
- Link
- Channel
- Route
- Path
- Interface : 동일 개념
- Adapter : 상이 개념
- Line
- Cable(선묶음)
- Port
- AP : Access POint , Wi-Fi: 무선인증 품질 마크
- 네트워크의 주소 체계
- MAC (Media Access Contol) address
- 48bit(6 Octet)의 고유한 주소
- Physical address
- 16진수 12자리
- IP(Internet Protocol) address
- 이진수 32bit ( 4 octet )
- Logical address
- 10진수 4자리
-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 주소로 MAC 주소 확인 가능
- IP 주소와 MAC 주소를 서로 매핑하는 절차
- 브로드캐스트 동작
- Ethernet : 10Mbps
- Fast Ethernet : 100Mbps
- Gigabit Ethernet : 1000Mbps
- 4,5 음성 POE 스위치에서 사용
- <PDU : protocol data unit>
- 패킷은 정해진 규격으로 패킷단위로 요금부과
- 1. 프레임 = 포인트 투 포인트
- 세그먼트=전송헤더+메시지
- 프레임=데이터헤더+(네트워크헤더+전송헤더+메시지=데이터)+체크트레일러
-
- <캡슐화> Encapsulation
- 세그먼트 = 엔드 투 엔드
- 데이터 ↔ 세그먼트 ↔ 패킷 ↔ 프레임 ↔ 비트
- <역캡슐화> Decapsulation
데이터헤더+(네트워크헤더+전송헤더+메시지=데이터)+체크트레일러전송헤더+메시지- 전송 헤더 = 포트 번호
- 데이터 헤더 = MACTCP UDP
FTP 20 21 SSH 22 Telnet 23 SMTP 25 HTTP 80 DHCP (67,68) TFTP (69) POP3 110 IMAP 143 NNTP 119 SNMP 161.162 DNS 53 (일정크기 이상 TCP겸용) - 면접 준비하듯이 공부하라2,3계층의 차이점은?
- 매체
- UTP 케이블 : 4가지 색깔 꼬임 간격이 다르다 / 안전규격
- 다이렉트
- ( 라우터 8핀→ 스위치 8핀 ) 순차 전송
- 송신 → 송신 o 수신 → 수신
- 568A TYPE 흰녹녹 흰주파 흰파주 흰갈갈 1,2 /3,6
- 568B TYPE 흰주주 흰녹파 흰파녹 흰갈갈
- 크로스 오버
- 송신 → 수신 x 수신 → 송신
- 장비별 차이점
- 동일 장비 = 크로스오버 케이블 사용
- 상이 장비 = 다이렉트 케이블 사용
- Router / PC
- 1 2 (송신) 3 (수신) 4 5 6 (수신) 7 8
- ㄴ--------------ㄱ
- 1 2 (송신) 3 (수신) 4 5 6 (수신) 7 8
- Switch/ hub|
- 1 2 ( 수신 ) 3 (송신) 4 5 6 (송신) 7 8 스위치
- ㅣ ㅣ ㅣ
- 1 2 ( 송신 ) 3(수신) 4 5 6 (수신) 7 8 라우터
- 실무 : Auto configuration
- 송신 → 수신 x 수신 → 송신
- RJ-45
- 다이렉트
- UTP 케이블 : 4가지 색깔 꼬임 간격이 다르다 / 안전규격
- 매체
- Ethernet : 10Mbps 주황 녹색 비음성
- Fast Ethernet : 100Mbps 주황 녹색 갈색 동기화용
- Gigabit Ethernet : 1000Mbps 파랑 음성4,5 음성, 전원용 / POE 스위치에서만 사용
- MAC (Media Access Contol) address
- 1,2 송신 / 3,6 수신
- 11 4핀/ 14 6핀 / 45 8핀
- 허브와 스위치의 차이점은?
- 줄글을 공부하지마라
- 다음은 없다 / Basic은 본질
- PPP Frame relay HDLC = WAN
- 2계층 프레임 Protocol
- IP ICMP IGMP ARP/RARP IPX
- SSL /TLS 443
- <Protocol>
- 네트워크 헤더 = IP
- 메시지
네트워크헤더+(전송헤더+메시지=데이터)- NIC 비트 조립= 프레임 생성
- NIC가 비트 변환
- 패킷=네트워크헤더+(전송헤더+메시지=데이터)
- 7 계층 : 7층 빌딩 1층이 없는 2층은 없다
- 물리 계층
- 물리적,기계적,전기적,기능적,절차적 연결 매체 / 대칭적 구조
- NIC UTP 광섬유 CAble RJ-45 Hub / 충돌 영역 발생 / 허브 : 식별자 없음 → 브로드캐스팅
- FTTO→ FTTC (현재 통신실) → FTTH(FIber to the Home)
- 데이터 링크 (물리적) 데이터 전송 준비 완료 상태 Lan Switching
- Switch Bridge 1계층 포함
- 신뢰성 : 오류탐지 및 흐름제어, 순차적 전송, MAC 지정
- MAC 물리적 : 식별자
- LLC 완충적
- 라우터,스위치 없이 랜카드 두개 설치하면 두개 컴퓨터끼리 통신가능
- 네트워크 계층 (논리적) IP Routing
- Router 1-2계층 포함
- 라우터가 언제 필요하냐
- 최적 경로 선택
- IP,MAC : 식별자
- 전송계층
- 식별자 : 포트번호
- TCP / UDP
- 흐름제어 및 오류제어
- 전송 계층 자체 신뢰성 있는 프로토콜 TCP > UDP
- TCP 재전송 가능 (연결지향성 세션 연결 3-way handshake ) SYN(10)→SYN(20)+ACK(11)→ACK(21)
- UDP 재전송 불가 시 폐기 (비연결지향성)
- 세션계층
- 응용프로그램 사이 연결되어 활성화된 상태 ; 세션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연결된 상태
- 물리 계층
'IT 엔지니어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tch -1 (0) | 2025.01.08 |
---|---|
패킷 트레이서 명령어 (0) | 2025.01.07 |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0) | 2025.01.05 |
네트워크 기초 -1 (1) | 2025.01.03 |
네트워크 기초 (1) | 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