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LAN이란, Virtual Local Area Network로 2계층 장비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논리적 네트워크이다.
서로 다른 브로드캐스트 영역으로 나누기 위해서 필요한 존재이다.
PC0,PC 1 VLAN 10에 할당하고 PC 2,PC3는 VLAN 20에 할당한다
각 스위치에 VLAN 1과 2를 생성한다
각 VLAN에 속하는 PC와 스위치가 연결된 해당 포트를 각 VLAN에 할당한다
interface FastEthernet0/1
switchport access vlan 10
switchport mode access
!
interface FastEthernet0/2
switchport access vlan 20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FastEthernet0/1
switchport access vlan 10
switchport mode access
!
interface FastEthernet0/2
switchport access vlan 20
switchport mode access
스위치는 Native VLAN 1이 기본적으로 할당된다.
그래서 물리적으로 연결된 2계층 장비는 특별한 설정없이 통신이 가능하다
각각 생성된 VLAN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스위치 간 트렁크 모드를 설정해줘야한다
interface FastEthernet0/3
switchport mode trunk
트렁크 모드란, 서로 다른 VLAN이 하나의 회선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드이다.
왕복 1차선이 아닌 왕복 4차선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고속도로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지정 차선으로 통신 가능하다.
[L3 스위치 사용]
각각 PC IP 및 서브넷 마스크 설정한다
PC 7,8 을 VLAN 2에 할당한다
각 스위치에 VLAN 2 생성한다
VLAN 2에 할당할 PC와 연결된 인터페이스에 VLAN 2를 부여한다.
interface FastEthernet0/3
switchport access vlan 2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FastEthernet0/2
switchport access vlan 2
switchport mode access
L3 스위치의 경우, 트렁크 모드 뿐만 아니라
캡슐화의 과정이 필요하다
interface FastEthernet0/1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itchport mode trunk
'IT 엔지니어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NA LAB CDP-Cisco Discovery Protocol (0) | 2025.01.29 |
---|---|
CCNA LAB Naming Vlan,Inter-vlan part1-3 (0) | 2025.01.28 |
CCNA LAB Local username-Banner (0) | 2025.01.22 |
CCNA -LAB 001 Basic Router Security Configuration 1-3 (1) | 2025.01.21 |
CCNA routing & switching packet tracer lab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