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라우터 루프백 인터페이스 IP 설정
모든 라우터 loopback IP 설정 완료
2. EIGRP 구성
라우터 1에 연결된 네트워크 대역은 정확하게는 10.12.0.0/24, 10.14.0.0/24이지만
10.0.0.0 대역으로 설정하면 두 대역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에서 동시 광고가 진행된다
정확하게는 해당 대역고 와일드 마스크 대역 설정해주어야 한다
EIGRP 생성 시 시스템 숫자는 동일해야 서로 광고가 가능하다
10.0.0.0 대역 광고했기에, 서로 연결되었음을 바로 확인 가능하다
라우팅 테이블 메트릭값 확인 가능하다
EIGRP 가 메트릭값이 OSPF 보다 작기에 우선순위가 높다는 점도 유추 가능하다
3.
OSPF 동일한 로드 밸런싱만 가능한 반면
EIGRP 발전된 IGRP 이기에 비평등 부하 분산이 가능하다
특정 조건에서만 가능해야 하며, 모든 곳에서 그럴 수는 없다는 점 유의가 필요하다
먼저 eigrp topolgoy 살펴보면 successor 라우터 경로를 보여준다
가장 최적의 경로라고 볼 수 있다
특정 조건 시 활성화될 수 있는 feasible 경로도 확인 가능하다
해당 테이블 왼쪽 숫자는 Feasibl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오른쪽 숫자는 Reported Distance
successor 되기 위해 RD가 FD 보다 무조건 값이 작아야 한다
FD 값이 작은 경로가 successor가 되며, 해당 경로 우선 통신된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도 부하 분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해당 메트릭 값 수정하면 된다
수정할 수 있는 값은 다양하며, 실습에서는 variance 만 수정하기로 한다
128배가 넘는 값은 수정 불가하다
수정 후 라우팅 테이블에 두 가지 경로 확인 가능하다
4.
라우터3에서 라우터 5로 향하는 인터페이스에 적용해준다
와일드 마스크가 아닌 마스크로 진행한다
라우터 5의 라우팅 테이블에서 10.0.0.0/8 대역 확인 가능하다
'IT 엔지니어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NA LAB 60 EIGRP ipv6 (0) | 2025.04.06 |
---|---|
CCNA LAB 59-60 EIGRP Troubleshooting / ipv6 (0) | 2025.04.05 |
CCNA LAB 57 OSPF IPV6 (0) | 2025.04.03 |
CCNA LAB 056 OSPF Troubleshooting (0) | 2025.04.03 |
CCNA LAB 55 OSPF Multi-area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