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엔지니어/CLOUD (24) 썸네일형 리스트형 Docker Resource Limit 메모리 제한docker run --rm -m 100m --memory-swap 100m mystress \\ stress --vm 1 --vm-bytes 95m -t 30s메모리 할당기 1개로 95mb 점유m 100m: 메모리 제한-memory-swap 100m: 스왑 사용 안 함-vm-bytes: 메모리 점유CPU 제한docker run --rm --cpus="0.5" stress \\ stress --cpu 1 -t 30s-cpus="0.5": 최대 CPU 사용 비율 제한CPU share 방식:docker run -d --cpu-shares=512 ubuntu sleep 300docker run --rm --cpus="0.3" stress\\ stress --cpu 2 -t 30sCPU 2개를 3.. Docker -1 docker0 = 도커의 Gatewaydocker network create (-d bridge) br1docker network create -d host --subnet 192.168.10.0/24 --gateway 192.168.10.1 br1docker network create br0 / bridge=default[Attach / Detach]docker attach [컨테이너명] - 진CTRL + P / Q / Cdocker exec 명령 실행까지 진행 docker run -it --name myweb ubuntu bashdocker exec [컨테이너명] touch /tmp/test.txtdocker exec [이름] ls /tmpdocker exec [이름] ps aux** 꿀팁 **do.. Docker Network 심화 [Network]docker network ls[FILTERING]docker network ls --filter driver=bridge--filter scope=local[Detail]docker network ls --no-truncNETWORK ID NAME DRIVER SCOPE86a7d65c511b15434f7d64de7dbda022f364a5ec374ebd603fff18882e424754 bridge bridge local00f9d8aed7e1312c6b9f5ee221a521d977ba0d31491f81f0366a0a15ea82a03c host .. Docker file [ CONTAINER 파일 및 디렉터리를 TAR 파일로 생성 ]실행 중이거나 중지된 Container 파일 시스템 전체를 .tar 파일로 저장exportImage나 설정 없이 순수 파일 시스템만 저장하는 백업Image처럼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하 준비 단계# docker export [옵션] [Container명/ID]Image(httpd) 다운로드 후 Container 생성 및 실행을 해준다.# docker pull httpd# docker container create --name myweb1 -p 80:80 httpd# docker container run -d --name myweb2 -p 80:80 httpdtest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진입해 .tar 파일을 저장할 준비를 한다.# .. Docker Network 다른 CONTAINER 간 통신Network 대역이 서로 다른 Container는 직접 통신이 불가하다.이 경우, 한 Container가 두 Network에 모두 연결되어 있으면Router 역할을 해줘서 다른 Contaienr들끼리 통신할 수 있다.즉, 서로 다른 Network에 있는 Container끼리 통신하려면, 중간에 연결된 Container에 Routing 경로를 추가해 줘야 하는 것이다.Container들을 두 개의 서로 다른 Network에 배치하고, 그 사이에 하나의 Container(alpine3)가 Router 역할을 해서 모두 통신이 가능하게 만들기alpine1alpinenet172.18.0.2/16alpine2alpinenet172.18.0.3/16alpine3alpinenet1.. Docker network DOCKER NETWORK[ DNS 수동 지정 ]--dns : Container 내부에서 사용할 DNS 서버 (수동) 지정# docker container run -d --dns [DNS] [Image]# docker container run -d --dns 8.8.8.8 nginx[ CONTAINER 내부 HOST 등록 ]지정한 Image 기반으로 새로운 Container 생성실제 DNS 설정을 바꾸는 게 아닌, 해당 Container 안에서만 적용됨# docker container run -it --add-host [Host명]:[IP주소] [Image]--add-host docker1:192.168.10.101로 Container 안에서 docker1 이름을 이 IP로 인식하게 해줬을 뿐, 해당.. Docker DB 1. 네트워크 생성 (컨테이너 간 통신 위해)docker network create wp-net2. DB 컨테이너 생성 (MariaDB)docker run -d \\ --name ***wp-db*** \\ --network wp-net \\ -e MYSQL_ROOT_PASSWORD=rootpw \\ -e MYSQL_USER=wpuser \\ -e MYSQL_PASSWORD=wppw \\ -e MYSQL_DATABASE=wordpress \\ -v wp-db-data:/var/lib/mysql \\ mariadb:latest이 컨테이너는 wordpress라는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생성하고,wpuser / wppw로 접속 가능하게 설정함.3. WordPress 컨테이너 생성 (Apac.. Docker volume/bind mount [ VOLUME 관리 ]Image : 읽기 (o)Container : 읽기/쓰기 (o)Volume : Container와 분리된 저장소VOLUME 방식[ VOLUME 방식 ]Docker에서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Data 저장소호스트 OS의 /var/lib/docker/volumes 아래에 자동으로 생성되며 Container에 Mount됨Container가 삭제되어도 Volume이 남아 있어서 Data 유지가 가능지속성이 필요한 Data에 적합 (DB, 파일 스토리지, 이미지 업로드 등)Docker가 권한, 경로 등을 직접 관리해 줘서 운영환경에 매우 안정적[ VOLUME 홈 디렉터리 ]# cd /var/lib/docker/volumes[ VOLUME 내부 구조 ]# tree -L 4 /var/lib/..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