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P (Dynamic Trunking Protocol)
Trunking 구성 시 패킷을 통해 자동 Trunking 구성
Trunk | 스위치 포트를 정적으로 트렁크 설정 DTP 패킷을 광고 합니다. |
switchport mode trunk |
Dynamic Desirable |
스위치 포트를 access 포트로 동작 DTP 패킷을 송/수신 협상에 성공하면 Trunk 포트로 설정 |
switchport mode dynamic desriable |
Dynamic Auto |
스위치 포트를 access 포트로 동작 DTP 패킷을 수신만 가능 협상에 성공하면 Trunk 포트로 설정 |
switchport dynamic auto |
Access mode - access port로 동작
Trunk mode - Trunk port로 동작
Dynamic Desirable - 상대포트가 Trunk,Dynamic Auto,Desirable일 경우, Trunk로 동작
/ access일 경우, 동일하게 access port 동작
Dynamic Auto - 상대포트가 Trunk,Dynamic Desirable일 경우, Trunk로 동작
/ Dynamic Auto, access 일 경우, access port 동작
DTP 메시지를 보내지 않을려면
switchport nonegotiate 명령어를 인터페이스에 입력 필요
Trunk 구성 위해 Trunk 정적으로 설정 필요
연결된 스위치 인터페이스 모두 다이내믹 오토로 설정되어 있다
모두 오토로 되어 있으면 access port로 동작한다
switchport nonegotiate 명령어와 Trunking 명령어를 해줘야한다
sw1,sw2 연결된 포트, sw1의 g0/1까지 트렁킹 구성을 해준다
해당 명령어로 Desirable / auto로 설정 가능하다
보안을 위해 switchport nonegotiate 명령어가 필요하다
dynamic 상태에서 nonegotiate 거부되므로, access 나 trunk 후 설정
스위치 1은 access port이고 스위치2 는 trunk port로 설정되어서
inconsistent port type이라는 syslong 확인된다
두 포트 같은 유형으로 설정해줘야한다
각각의 VLAN 포트에 할당한다
라우터에 각 VLAN에 맞는 게이트웨이 서브인터페이스를 설정한다
Inter-vlan 통신 가능 확인 완료
'IT 엔지니어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NA LAB review (0) | 2025.03.14 |
---|---|
CCNA Lab 44 Review Configuration (0) | 2025.03.13 |
CCNA LAB IPv6 (0) | 2025.03.10 |
CCNA LAB Syslog (0) | 2025.03.09 |
CCNA LAB PAT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