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CP프로토콜 흐름제어 방식 = sliding window
TFTP =UDP
FTP = TCP
IGMP 비대칭 프로토콜 / TTL 참조 / 질의 메시지 / 오류보고 / 반향 회답메시지 지원
PON = FTTH
모든 가입자 동일한 광신호 수신 방송형 성격
상향 트래픽 TDMA 방식 사용 충돌 방지
채널부호화 = Convolutional Code
돌림형 부호로 일정 길이의 블록 단위로 이루어지는 통신의 채널 부호화에서,
각 블록에서의 부호화가 해당 블록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블록에도 동일한 선형 관계식으로 의존하는 부호이다.
이에 비해 오류 정정이 해당 블록에만 의존하고 다른 블록과는 아무 관계가 없는 것은
블록 부호
/etc/shadow : 사용자 암호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
Free = 메모리의 전체적인 현황 확인 가능
전체 메모리의 크기와 사용 중인 메모리 크기,
공유 메모리와 buffer, cache메모리 및 swap의 크기를 알 수 있다.
power user는 administrator보다 한 단계 낮은 권한을 가짐
(일반 user보다는 높음)
Remote Desktop Users: WMI 컴퓨터에 원격 로그온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짐
재귀적 질의
주파수 방식 :
전파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스프레드 스펙트럼(Spread Spectrum)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방식.
일반적으로 무선랜 방식
DNS에서 사용될 때 TTL(Time to Live)
데이터가 DNS서버 캐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Ethernet, FDDI, Token Ring 등의 근거리 통신망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
10.0.0.0 - 10.255.255.255
172.16.- 31
192.168.0.0 -
Adaptive ARQ :
통신 채널의 오류율 기반 / 다른 ARQ보다 복잡 / 최적의 재전송 횟수와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한 크기 결정
Selective-Repeat ARQ :
수신 측에 오류가 발견된 프레임에 재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만 다시 전송
Stop and Wait ARQ :
가장 단순한 형태 / 송신측이 1개의 블록을 전송하면 수신 측에서 오류의 발생을 점검 후 긍정 혹은 부정 응답 대기
Go back-N ARQ : 에러가 발생한 블록 이후 모든 블록을 재전송
init 1
싱글모드(관리모드) 원격로그인 불가 root계정만 사용가능
init 2
NFS(Network File System)를 미지원 멀티유저 실행모드
init 3
NFS지원하는 멀티유저 실행모드
서버용도로 사용되는 리눅스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레벨
※ NFS(Network File System)
Linux 컴퓨터끼리 저장공간을 공유할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
ex) [root@localhost ~]#mount -t nfs 192.168.0.10:/share
init 4
사용하지 않는 실행레벨,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여 사용할수있도록 만든 커스텀레벨
init 5
X윈도우 환경으로 실행된 멀티유저 실행모드
※ 로컬에서 startx명령어와 init 5의 차이점
startx명령어 사용시 로그인상태 유지하여 x윈도우만 로딩 #runlevel 변경되지 않음)
init 5명령어 사용시 x윈도우 환경모드로 진입됨,
x윈도우 로딩후 재로그인 필요
※ 원격지에서 startx명령어와 init 5의 차이점
startx명령어 사용시 로컬시스템에 x윈도우로딩되며 원격터미널은 실행대기상태로 돌입
#Ctrl + Z를 누르면 x윈도우 종료된후 다시 터미널활성화됨
init 5명령어 사용시 부팅레벨을 5부팅레벨로 진행
#원격터미널에는 아무영향이 없으며, X윈도우로딩이 보이지도 않음
게이트웨이(Gateway)
두 개의 완전히 다른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장치이다.
데이터 변환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네트워크내의 병목 현상을 일으키는 지점이 될 수 있다.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환경들을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EFS는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파일과 폴더에만 암호화 기술을 적용가능.
EFS는 NTFS 파일 시스템에서만 동작하므로
FAT32, exFAT 등의 파일 시스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2)EFS는 개인키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
기본적으로 Windows는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사용하여 개인키를 보호.
강력한 보안을 위해 스마트 카드와 같은 하드웨어 보안 모듈을 사용 개인키를 보호가능
암호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개인키를 보호할 수 있다.
3)사용자 계정의 공개 키로 암호화하여 저장
시스템을 다시 설치하면 새로운 공개/개인 키 쌍이 생성되므로
이전에 암호화된 파일을 열 수 없다.
EFS는 인증서 파일의 확장자로 CER, P7B, PFX, SST 형식을 지원한다.
'IT 엔지니어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마스터 2급 2023년 09월 09일 기출문제 (0) | 2025.02.07 |
---|---|
리눅스마스터 2급 2023년 12월 09일 기출문제 (0) | 2025.02.04 |
네트워크관리사 2급 23.02.26 기출 (0) | 2025.01.30 |
네트워크관리사2급 23.05.21 기출 (0) | 2025.01.28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23.08.20 기출 (1)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