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엔지니어/자격증

네트워크관리사 2급 23.02.26 기출

COM-CBT

 

A class 0.0.0.0 - 127.255.255.255
B Class 128 - 191
C Class 192 - 223
D Class 224- 239
E Class 240 - 255
 

arp include 10.100.95.200 = arp process
 
IP -> MAC 주소 확인 프로토콜 
 
응용계층 프로토콜 중에 전송계층의 프로토콜 TCP, UDP를 모두 사용하는 프로토콜
-DNS // 숫자로만 구성된 IP 주소를 기억하기 어렵기에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는 프로토콜
DNS 쿼리 및 응답 메시지는 TCP 또는 UDP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대부분의 DNS 쿼리는 UDP를 사용하지만,
쿼리나 응답 메시지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TCP를 사용한다.
 
 
SNMP
UDP 계열 프로토콜로, 원격 관리에 필요한 정보와 서버상태를 관리
네트워크 관리자나 시스템 관리자들이 장비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RIP
 

     1.디스턴스 벡터(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2.메트릭은 Hop Count를 사용한다.
     3.표준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라우터가 지원한다.
     4.RIPv1 브로드캐스트 이용하여 광고한다
RIPv2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여 광고한다.

 
1.IEEE 802.1브리지 및 LAN 규격을 다루는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MAC과 PHY 레이어간의 상호 운용성을 정의
VLAN, QoS(Quality of Service), STP(Spanning Tree Protocol) 제공.

2.IEEE 802.2논리적 링크 제어(Logical Link Control, LLC) 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하는 프로토콜을 규정합니다.

3.IEEE 802.3이더넷(Ethernet) 표준을 정의하는 표준입니다.
이더넷은 LAN(Local Area Network)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통신 기술 중 하나이며,
데이터 링크 계층과 물리 계층에서 작동합니다.

4.IEEE 802.11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WLAN) 표준을 규정하는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규정하며,
2.4GHz와 5GHz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CSMA/CA와 같은 방식을 정의합니다.
802.11 시리즈는 계속해서 업데이트되고 있으며, 현재는 802.11ax(또는 Wi-Fi 6)가 최신 버전입니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들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노드
SINK
 
 

1. Bus(버스형)
- 1 개의 통신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
물리적 구조가 간단하고, 단말장치의 추가와 제거가 용이하다.
단말장치가 고장나더라도 통신망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지만 기밀 보장이 어렵고 통신 회선의 길이에 제한이 있다.

2. Star(성형, 중앙 집중형)
-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방식으로 회선을 연결한다.
각 단말 장치들은 중앙 컴퓨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한다.
하나의 단말장치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단말장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앙 컴퓨터가 고장나면 전체 통신망의 기능이 정지된다.
단말장치의 추가와 제거가 쉽다.
중앙 집중식이므로 교환 노드의 수가 가장 적다.

3. Ring(링형, 루프형)
- 컴퓨터와 단말장치들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시킨 형태
분산 및 집중 제어 모두 가능
단말장치의 추가/제거 및 기밀보호가 어렵다.
각 단말장치에서 전송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중계기의 수가 많아지고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전송이 가능하다.

4. Mesh(망형)
- 모든 지점의 컴퓨터와 단말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
노드의 연결성이 높다.
많은 단말장치로부터 많은 양의 통신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보통 공중 데이터 통신망에서 사용되며, 통신 회선의 총 경로가 가장 길다.
통신 회선 장애 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1.A - 정규화된 도메인 이름을 32비트 IPv4 주소와 연결
      2.AAAA - 정규화된 도메인 이름을 128비트 IPv6 주소와 연결
      3.CNAME - 실제 도메인 이름과 연결되는 가상 도메인 이름

 

NS(Name Server)는 특정 도메인의 DNS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
도메인 네임에 대한 모든 요청이 NS에 전송
각 도메인은 해당 하나 이상의 NS 레코드를 가지고 있으며, 도메인의 DNS 쿼리를 처리하는 서버를 지정합니다.

DNS - 전화번호부, NS - 전화번호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전화국

 
리눅스 
a : 모두
- w : 쓰기 권한 제외
 
Linux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Daemon이 살아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ps
2. fsck : 파일 시스템 상의 오류를 체크하는 명령어
4. ps  :프로세스의 상태,유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이벤트 뷰어는 시스템의 감시와 관련된 로그를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
Windows 로그 4가지 감시 항목 제공
 
1. 보안 (Security) 로그: 보안과 관련된 로그를 기록합니다. 예를 들어 로그인 시도, 계정 관련 이벤트 등이 기록됩니다.

 
2. Setup 로그: Windows 시스템의 설치 및 업그레이드와 관련된 로그를 기록합니다.
이벤트 ID 6000-6999 번호 범위에 해당합니다.

 
3. 시스템 (System) 로그: Windows 시스템의 동작과 관련된 로그를 기록합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오류, 경고 등의 정보가 기록됩니다.
 
4. 응용프로그램 로그 : 응용프로그램이 기록한 다양한 이벤트 로그 . 개발자에 의해 결정됩니다.
 
 
 
1. NTFS는 퍼미션을 사용할 수 있어서 접근 권한을 사용자별로 설정 할 수 있다.
2. NTFS는 파일 시스템의 암호화를 지원한다.
3. ReFS는 데이터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수정하는 기능이 있다.
=> ReFS는 NTFS를 기반으로 한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하는 파일 시스템이다. 
4. ReFS는 NTFS기반인데 NTFS는 FAT32의 장점과 호환성을 유지하지 않는다.
 
 
TCP 헤더의 플래그 비트
 
URG (Urgent Pointer) : 긴급한 데이터가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ACK (Acknowledgment) : 확인 응답을 요청하거나, 이미 확인 응답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SH (Push Function) : 데이터를 즉시 전송하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RST (Reset Connection) : 연결을 재설정하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SYN (Synchronize Sequence Numbers) : 시퀀스 번호를 동기화하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FIN (Finish) : 데이터 전송이 끝났음을 나타냅니다.
 
 
1. 타이밍(Timing): 데이터 전송 시기와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언제 보낼지, 얼마나 빠르게 보낼지 등의 정보가 이에 해당합니다.
2. 의미(Semantics): 데이터의 의미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제어 정보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가 어떤 종류의 정보를 담고 있는지, 어떤 포맷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등의 정보가 이에 해당합니다.
3. 구문(Syntax): 데이터의 구문이나 형식을 정의하기 위한 제어 정보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가 어떤 방식으로 인코딩되어 있는지, 데이터의 필드 구성이 어떤지 등의 정보가 이에 해당합니다.
4. 처리(Process):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정보입니다. 
 
 
/bin: 기본적인 시스템 실행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
/root: 최상위 관리자(root)의 홈 디렉터리
/etc: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터리
/proc: 프로세스와 시스템 정보에 대한 가상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