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TUALIZATION
가상화
[ VIRTUALIZATION ]
한 대의 컴퓨터(물리 장비) 안에 여러 개의 컴퓨터(가상 장비)를 만들어 쓰는 기술
- 호스트 기반 (Type 2 : 운영체제 거쳐)
- Host OS라는 기존 운영체제 위에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하는 방식
- Host OS = Windows나 Linux, Windows같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운영체
- 일반 사용자용, 간편하지만 성능은 제한적
이미 누군가 사는 집(운영체제)이 있고, 거기 안에 방을 새로 만드는 것
- Host OS라는 기존 운영체제 위에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하는 방식
- 베어메탈 (Bare Metal) (Type 1 : 하드웨어에 직접)
- 하드웨어 위에 직접 Hypervisor를 설치하는 방식 (Host OS X)
- Server용, 고성능이지만 설정이 복잡
땅 위에 바로 집을 짓는 것 (운영체제 없이 바로 가상화)
- 컨테이너
- Hypervisor 없이 Host OS 커널을 공유하여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분리된 공간에서 실행
- 경량화된 앱 실행에 최적, 빠르고 효율적
- ex) Doker, Kubernetes
집 안에서 벽만 살짝 나눠서 여러 명이 같이 사는 것
[ HYPERVISOR ]
- 하드웨어 리소스(CPU, 메모리, 저장소 등)를 가상화하여 여러 운영체제(OS)가 동시에 실행되도록 만들어주는 가상화 관리자
- 가상화 기술의 핵심 구성 요소로, 하나의 물리적인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KVM
Kernel-based Virtual Machine
[ KVM ]
- 리눅스 커널을 하이퍼바이저로 변환시켜주는 기술
- 가상화 기술
[ 패키지 설치 ]
# dnf -y group install "Virtualization Host"
|
가상화 관련 패키지 설치
|
# dnf -y install virt-manager
|
GUI로 가상 머신 관리 도구
|
[ 시스템 실행 ]
# systemctl restart libvirtd
|
# groupadd virt
# useradd dami
# passwd dami
# usermod -aG virt dami
# cd /etc/polkit-1/localauthority/50-local.d
# vi 50-org.example.libvirt-access.pkal
일반 사용자도 GUI로 가상머신을 만들고 조작 가능하게 설정
1 [libvirt Admin Access]
2 Identity=unix-group:virt
3 Action=org.libvirt.unix.manage
4 ResultInactive=yes
5 ResultActive=yes

[ Linux 설치 이미지 전송 ]
기본 이미지 DVD ISO
# cd /var/lib/libvirt/images
|
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가상 머신 관리자
[ ROCKY LINUX 9.5 ]



8192MB


최대 메모리

40G

Install Rocky Linux 9.5


[ WINDOWS 10 ]



wordpress, DB Cluster 생성 후 마무리

node1
첫번째 노드에서 환경 설정 파일 수정 후
galera_new_cluster 입력

node2
두번 째 노드에서 환경 설정 파일 수정 후
systemctl start mariadb 입력
'IT 엔지니어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phere (0) | 2025.05.05 |
---|---|
가상화 VMWARE (0) | 2025.05.05 |
Hypervisor (0) | 2025.05.04 |
IAM - 방어 체계 (0) | 2025.03.23 |
AWS IAM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