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PC에서 각 IP GW SM 설정
2. 모든 스위치에서 가상 랜 설정
3. 해당 포트에서 가상 인터페이스 할당
4. 스위치간 연결 구간 Trunking 설정
5. L3 스위치에 가상랜의 Gateway,Subnet Mask 설정
6. L3 스위치 ip routing 활성화
7. 가상랜만 있기에 No Switch 필요 없음
VTP
- Virtual Trunking Port
스위칭된 네트워크 관리 작업 효율화
1대의 VTP 서버에서 VLAN 설정 시 스위치 통해 배포되어 동일한 VLAN 설정을 1회만 하면 된다
> 시스코 전용 프로토콜
> VLAN 정보 공유 프로토콜
> 기본값 스위치 모드 : 서버
> 스위치 모드 : server / transparent / Client
> 조건 :
- 프로토콜 버전 일치 ( 상위 버전은 하위 호환 가능 )
- 도메인 일치
- 패스워드 일치
- 이더채널 그룹핑 시 그룹명 일치
1. 운영 모드
> server mode : VLAN 관리 가능 / 서버만의 VLAN 정보 공유 가능
> Client mode : 서버 VLAN 수신 후 사용 가능 / VLAN 관리 불가
> Transparent mode : 본인만의 VLAN 관리 가능 / 서버의 VLAN 정보 전달만 가능 / 수신 불가 및 사용 불가

<vtp server SW1>
Switch(config)#do sh vtp status
Switch(config)#do sh vtp pass
Switch(config)# vtp moder [server] /// 기본값
Switch(config)# vtp domain [cisco=도메인 이름]
Switch(config)# vtp password [1234]
Switch(config-if)#int fa0/1
Switch(config-if)#sw mo tr

<vtp client SW2>
vtp mode [ client ]
vtp domain [ cisco ] //// 도메인 서버와 일치
vtp password [ 1234 ] ///// 비밀번호 일치

<transparent mode>
vtp mode [ transparent ]
vtp domain [ cisco ]
vtp password [ 1234 ]
EX ) VTP mode를 이용하여 실습을 해보자

- PC IP ,SM , GW 설정
- 서버 스위치 모든 가상랜 설정
- 각 스위치 모드 설정 : server, client ,transparent
- 해당 포트에 가상 인터페이스 할당
- 해당 가상랜과 해당 포트 일치 확인
- 스위치간 연결 구간 트렁킹
- L3 스위치 ip routing
- L3 스위치 가상랜마다 게이트웨이 및 서브넷마스크 설정
- 물리적 랜이 없고 가상랜만 있기 때문에 no switch 할 필요 없음
- L3스위치로 게이트웨이까지 가는지 선 확인 후 → PC 통신 확인
- PC 설정 재 확인 필요
- 해당 가상랜과 해당 포트 일치 확인 필요
- do show ip routing 확인 필요
- do show interface trunk 확인 필요
<반장확인하는법>
> Root Bridge
> 경제적 효율적 네트워크 이용 / 루핑 방지 /
STP
Switch#show span tree


두 가지 방법
- Bridge ID Priority 32769(+1)높은 우선순위의 경우 -> Root Bridge ( This Bridge is the root )
- 값이 낮은게 우선순위 높다 /// 숫자가 작으면 우선순위 높다 즉, 반장이다
- Root Bridge - 지정할 수 있다
- Cost Number, Prio Number

> 반장 지정하는 방법
- spanning-Tree vlan 1 priority ?
- <0-61440> bridge priority in increments of 4096
- spanning-Tree vlan 1 priority 4096 or 0 /// 반장 지정 명령
- spanning tree vlan 1 root primary / secondary /// 1순위 지정 명령어
-
- 우선값으로 반장, 부반장까지 선정연결 장비 장치 확인 명령어
- show cdp neighbor
- 주변 장비 우선값은 해당 장비에서 직접 확인 필요


[포트 종류]
Designated Port
Root Port
Root Bridge : Root Bridge의 모든 포트가 desginated port
Root port : Root bridge 방향의 포트
Root 설정으로 네트워크 최적화 가능

'IT 엔지니어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 VTP mode (0) | 2025.01.15 |
---|---|
EthernetChannel (1) | 2025.01.13 |
Inter-VLAN ( 라우터 ) (1) | 2025.01.10 |
VLAN( Virtual Local Area Network) 생성 순서 (1) | 2025.01.09 |
Switch -1 (0) | 2025.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