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SPF AREA 0으로 설정되어야 하는데 AREA 1로 설정 확인
AREA 0 으로 변경 필요
2. ROUTER BGP 65000 설정이면
이웃은 65001로 설정 필요
6500으로 수정 필요
3. 10.0.0.0 대역 등록 확인이나
10.0.0.0 대역 마스크 추가 입력 필요
1. OSPF AREA 숫자 변경 완료
2. BGP NEIGHBOR AS NUMBER 변경 완료
BGP 상태 ESTABLISHED , UP 확인
3. 마스크 까지 추가 입력
통신 완료
- TCP 포트 179번 사용 /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교환
- IGP와 다르게 직접 연결되지 않은 장비와 Neighbor 관계를 형성 가능
eBGP Peer 종류
1) eBGP(external BGP) Peer
- 서로 다른 AS 사이에서 BGP를 구성하는 경우
- eBGP Peer에게 광고받은 정보의 AD값 20
2) iBPG(internal BGP) Peer
- 동일 AS 안에서 BPG를 구성하는 경우
- iBGP Peer에게 광고받은 정보의 AD값 200
BGP Message 종류
1) Open
- BGP Peer 형성 메시지
2) Update
- 자신의 BGP 정보 광고 메시지
- 하나의 Update 메시지 안에는 하나의 경로 정보만 포함되고, 해당 경로에 대한 속성 값이 들어있다.
3) Notification
- 기존에 자신이 광고했던 경로 정보에 문제 발생 시 위한 메시지
4) Keepalive
- BGP Peer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 Hold-time(180초) 동안 상대방의 Keepalive 메시지를 미수신 시 Peer 관계 단절
- Open 메시지를 사용하여 BGP Peer 관계 형성 후 update 메시지를 사용하여 서로 정보 교환
- 교환된 정보는 바로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되는 것이 아니라
BGP 테이블에 등록된 후 속성 값을 비교하여 최적 경로만 사용하게 된다.
'IT 엔지니어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NA LAB HSRP Troubleshooting (0) | 2025.04.16 |
---|---|
CCNA LAB HSRP (0) | 2025.04.15 |
CCNA LAB BGP (0) | 2025.04.13 |
CCNA LAB 66 GRE TROUBLE SHOOTING (0) | 2025.04.12 |
CCNA LAB 65 GRE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