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tp

(3)
VLAN / VTP [ VTP(VLAN Trunking Protocol) ]Cisco 전용 프로토콜 (VLAN 정보 동기화)Switch는 기본적으로 Server 모드 (server모드로 사용할 경우 따로 설정할 필요 없음)Switch 모드 : Server, Transparent, ClientVLAN 정보 공유 프로토콜조건 : 프로토콜(=패킷 장치 번호 2960 등) 버전 일치, VTP 도메인 일치, 패스워드 일치​Server modeVLAN 생성/수정/삭제/ 자신의 VLAN 정보를 다른 Client들에게 전송/제공 (남의 정보를 받아오진 않음)Client modeServer의 VLAN 정보 수신, VLAN 생성/수정/삭제 불가능Transparent mode(=투명모드, 스쳐 지나감)VLAN 생성/수정/삭제 가능,  자신의 ..
CCNA Lab 46-47 VTP TroubleSHooting review sw1 g0/1 trunk mode / disable DTP                  sw2 g0/1-2 trunk mode / disable DTP           sw3 g0/1 trunk mode / disable DTP          2.  Switch 2를 transparent mode 설정  transparent mode는 vTP 서버의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전달은 가능하나, 자신만의 VLAN 정보를 생성 삭제 수정 관리 가능하다. 자신의 VLAN 정보는 전달 불가이다.서버의 VLAN 정보만 전달 가능한 혼자 놀기의 진수를 보여준다  3. SW1 server mode 설정 VTP 서버 모드는 디폴트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4. SW3 client mode 설정 클라이언트 모드 설정 시, ..
VLAN / VTP mode 1. VLAN 1) 스위치와 연결된 모든 장비 =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영역 2) 라우터 = 물리적으로 네트워크 구분 3) VLAN =  논리적으로 네트워크 구분 서로 다른 VLAN은 Layer 3 장비 통해서 서로 통신 가능 - 보안성 강화-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로드 밸런싱 가능- 이중 경로인 경우 하나의 포트 차단 /  1, access point- 하나의 포트가 하나의 VLAN 속하는 경우 2. Trunk point- 하나의 포트에 여러개의 VLAN frame 속하는 경우- 왕복 8차선 고속도로- 지정차선 고속도로- trunking = 여러개의  VLAN 다닐 수 있도록 하나의 트렁크에 실어 나르는 것 1. ISL 2. IEEE802.1Q = 표준 프로토콜  > VTP 모드> vlan 정보 동기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