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AT

(3)
NAT /PAT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네트워크 주소 변환 기술네트워크의 사설 IP Address를 공인IP Address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로 변환하는 기술한정된 공인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들이 제한된 공인 IP Address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줌사설 IP를 공인망에서 사용 불가NAT는 기본적으로 방화벽 역할을 함 (내부에서 외부로 접근은 가능 // 외부에서 내부 접근은 불가)​[ NAT 사용하는 이유 ]1) 공인 IP Address의 부족 문제 해결공인 IP Address는 한정된 자원, NAT는 하나의 공인 IP Address를 사용해 여러 ..
CCNA Static NAT NAT란, Network Address Translation으로 사설 IP에서 공인 IP로 변환해주는 프로토콜이다IP 주소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면서, 효율적 관리와 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사람과 장비가 많아지면서, IP 또한 많이 필요해졌지만, 공급할 수 있는 IPv4 개수는 정해져있다.그렇다고 동시에 80억명이 접속하는 것도 아니기에 필요할 때만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이다 크게 3가지 방법이 있다 StaticDynamicPAT 오늘은 Static을 실습하려고 한다 각 사설IP에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는 각각의 공인IP를 하나씩 지정해주는 방법이다. 외부에서 내부IP 주소를 모르기에 보안성 강화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호스트에서 SRV1까지는 패킷을 전달가능하지만, SRV1 입장에서..
NAT NAT이란Network Address Translation - 내부 네트워크에서는 사설 IP를 사용하고,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는 경우 공인 IP주소로 변환돼서 나가게 하는 기술  이 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지금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은 IPv4로 약 43억개 주소를 사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인구수는 80억명이 넘어가며, 이제 컴퓨터뿐만 아니라 다른 장비들도 통신을 위해 IP주소가 더 필요하게 될 것입니다. IPv6 상용화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호환되는 장비가 아직 부족하기에 임시방편이 필요합니다 임시방편이 바로 NAT 기술입니다.  사설망과 공중망를 분리하여, NAT를 사용하게 됩니다 현재 정해져 있는 IP수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앞서 배운 DH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