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TP

(3)
리눅스 FTP part 3 디렉터리 접근 제한모든 사용자 상위디렉토리 접근 제한 vi /etc/vsftpd/vsftpd.conf chroot_local_user=YES // root는 로컬 유저만 로그인 하겠다 원격 로그인 자체 불가allow-writeable_chroot=yes // 본인 디렉터리만 접근 가능  [특정 사용자 상위디렉토리 접근 제한]chroot_local_user=no /chroot_list_enable=YES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root 접근 권한 제한 / 리스트 활성화 / 작성된 리스트의 유저만 권한 미부여 제한하겠다-----3개 설정 후 allow-writeable_chroot=yes // 설정하면 접근 가능 도루묵  [특정 사용자 상위디렉토리 접근 허용]..
Linux FTP - 1 1.프로그램 설치dnf -y instal vsftpd*  // 서버dnf -y install ftp // 클라이언트  2. 환경설정 파일VI /etc/vsftpd/vsftpd.conf  // 변경사항 없음 3. 서비스 시작systemctl restart vsftpd  4. 사용자 제한 및 접근 통제1) PAM 모듈 이용한 접근통제[사용자]/etc/vsftpd/vsftpd.conf 1 . pam_service_name=yes 2 . userlist_enable= 확인userlist_enable=yes → 리스트 등록 시 제한no → 리스트 상관없이 허용 userlist_deny=yes -> default -> 리스트 틍록 시 제한userlist_deny=NO -> 리스트 등록 유저 사용 가능 /etc/pa..
리눅스 FTP 서버 심화 6. FTP 세션 관리 설정[root@localhost ~]# cd /etc/vsftpd[root@localhost vsftpd]# vi vsftpd.conf59th idle_session_timeout=600  /// 미반응시 600초 후 자동 로그아웃 설정 vi .exrc se nu   [FTP server]FTP ( 인증 )Anonymous FTP (인증 )Account : anonymous /  Password :이론상 E-mailTFTP- 69번 포트7. 배너 설정#vi /etc/vsftpd/vsftpd.conf 86th ftpd_banner=Welcome to blah FTP service - 1줄 배너banner_file=/etc/vsftpd/banner.file 입력 /////  ban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