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9)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눅스 FTP part 3 디렉터리 접근 제한모든 사용자 상위디렉토리 접근 제한 vi /etc/vsftpd/vsftpd.conf chroot_local_user=YES // root는 로컬 유저만 로그인 하겠다 원격 로그인 자체 불가allow-writeable_chroot=yes // 본인 디렉터리만 접근 가능 [특정 사용자 상위디렉토리 접근 제한]chroot_local_user=no /chroot_list_enable=YES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root 접근 권한 제한 / 리스트 활성화 / 작성된 리스트의 유저만 권한 미부여 제한하겠다-----3개 설정 후 allow-writeable_chroot=yes // 설정하면 접근 가능 도루묵 [특정 사용자 상위디렉토리 접근 허용].. 리눅스 FTP 서버 심화 6. FTP 세션 관리 설정[root@localhost ~]# cd /etc/vsftpd[root@localhost vsftpd]# vi vsftpd.conf59th idle_session_timeout=600 /// 미반응시 600초 후 자동 로그아웃 설정 vi .exrc se nu [FTP server]FTP ( 인증 )Anonymous FTP (인증 )Account : anonymous / Password :이론상 E-mailTFTP- 69번 포트7. 배너 설정#vi /etc/vsftpd/vsftpd.conf 86th ftpd_banner=Welcome to blah FTP service - 1줄 배너banner_file=/etc/vsftpd/banner.file 입력 ///// banne.. 리눅스 실습 [root@localhost etc]# file [passwd] // 해당 파일 형식 확인 passwd: ASCII text[root@localhost 바탕화면]# file [/bin/passwd] /bin/passwd: setuid ELF : 바이너리 파일.명령어 미션1.사용자 계정 생성test{1..4}그룹생성korea{1..4}디렉터리 생성/home/dir{1..5}파일 생성/home/dir1/seoul{1..3}.txt /home/dir2/daejon{1..3}.txt /home/dir3/daegu{1..3}.txt /home/dir4/busan{1..3}.txt /home/dir5/gwanju{1..3}.txt미션 수행/home/dir1 디렉터리는 test1 사용자만 진입/home/dir1/s.. 리눅스 서버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관리] 1. 프로세스 확인 // 현재 상태 확인ps /// [해당 PID ] [식별자] [터미널] [경로] [누적 시간]ps [옵션]-a : terminal 관련 모든 프로세스 출력-au : 실행한 user 포함 터미널 관련 프로세스 출력-x : 터미널 미관련 사항 포함 프로세스 출력 [root@localhost ~]# ps -aux | grep httpd pstree [옵션]트리 구조로 실행-p : 프로세스 식별자 (PID) 확인 가능pstree -p | less top [옵션] 실시간 프로세스 상태 출력 2초우선값 nice값 확인 가능 2. 실행모드foreground 실행 : 무대 앞 / 화면으로 출력되면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실행할때는 프로그램)background 실행 : 무대 뒤 / 화.. 리눅스 서버 sort [root@localhost dir1]# fallocate944 fallocate -l 10M file10 945 fallocate -l 100M file100 946 fallocate -l 1G file11g [root@localhost dir1]# sort passwd // passwd라는 파일 내용을 기본 알파벳 정렬[root@localhost dir1]# sort file | nl // file 이라는 파일을 넘버링 한다[root@localhost dir1]# sort -k 1 file // -k : 필드로 분류 하겠다 [1] : 첫번째 필드a d bb a d c c ad b c 세로 첫번째 열만 정렬된다기본값이 빈칸으로 되어 분류된다 sort -t [,] : 구분자 표시 명령어[root@loc.. Linux 기본 명령어 [cd] 자신의 홈디렉터리로 이동[cd ~][cd $home ] → / root 로 이동 [cd - ] 이전 상태 복귀 명령[/]: root directory 최상위 디렉토리cd /home - 타 경로 시 슬래시 필요cd [ ].. 이전 디렉터리 / 한단계 상위 디렉터리ps 이동cd[ ]. 현재 디렉터리 ls -l 해당 디렉터리의 파일 및 디렉터리 자세한 목록 출력ls -al 모든 파일 및 숨겨진 파일 및 디렉터리 목록 출력 디렉터리 생성 및 삭제 ,변경1. 생성mkdir [옵션] [ 생성할 디렉터리]mkdir dir1 dir2 dir3 // 대량 생성 가능 mkdir -p dir1/dir2/dir3 하위파일까지 동시 생성 가능기존 디렉에서 하위파일 생성 시 -p 옵션 없어도 생성 가능하나씩 생성 가능 .. EthernetChannel [ EtherChannel ]속도 증가 / 이중화STP의 블로킹으로 이원화 불가 상태그룹 6개 까지 증설 가능하나의 그룹에 8개 포트 수용 가능모든 스위치 적용 필요Switch(config)#int ra fa0/1-2Switch(config-if-range)#sw mo trSwitch(config-if-range)#channel-group 1 mode on 이중선으로 200Mbps 사용 가능 상태auto( passive ) ↔ auto ( passive ) : 서로 대기 중 / 이용 불가하나라도 desirable (active ) 필요 int fa0/1-2 하나의 그룹 1int fa0/3-4 하나의 그룹 2루핑 방지 위해 group 2 블로킹하나의 회선만 사용 가능 --> 루핑 방지 단일화 VS 그룹화.. 시스코 패킷 트레이서 - 실습 ( L3스위치 Inter-VLAN ) 오른쪽 스위치 1. VLAN 생성Switch(config)#vl 100Switch(config-vlan)#vl 200 2, 해당 포트에 VLAN 할당Switch(config-vlan)#int range fa0/1-2Switch(config-if-range)#sw mo acSwitch(config-if-range)#sw ac vl 100Switch(config-if-range)#e Switch(config)#int fa 0/3Switch(config-if)#sw mo acSwitch(config-if)#sw ac vl 200Switch(config-if)#e Switch(config)#do sh vl bri* VLAN 100,200 생성 확인 가능하다 오른쪽 스위치 윗단 트렁크 포인트fa0/23 Trun..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