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엔지니어/Linux server

[일반 사용자 웹 사이트 허용]

1. 메인 서버에서 계정 생성

# useradd user1 / passwd user1

 

2. 계정 디렉터리 허가권 변경

[일반 서버 자동 차단 상태]

# chmod 755 user1

drwxr-xr-x 3 user1 user1 78 1월 31 10:48 user1

 

3. 웹 디렉터리 생성

[root@localhost home]# cd user1

[root@localhost user1]# mkdir public_html

[root@localhost user1]# cd public_html

[root@localhost user1]# vi index.html 파일 생성

<H1>~ </H1>

 

4. 환경설정

vi /etc/httpd/conf.d/userdir.conf

17 #주석 처리

24 userdir publci html 주석 해제

 

/etc/httpd/conf.d/userdir.conf

  1. 시스템 재시작
      1. systemctl restart httpd
  2. 인터넷 주소 검색 kbs.co.kr/~user1

 

kbs.co.kr/~user1 접속 확인

 

 

 

[일반 사용자 웹 사이트 주소로 접근]

 

>가상호스팅

 

 

  1. http 환경 설정 변경

cd /etc/httpd/conf.d

vi vhost.conf

 

NameVirtualHost *:80

 

<VirtualHost *:80>

DocumentRoot /var/www/html

Servername kbs.co.kr

</VirtualHost>

 

<VirtualHost *:80>

DocumentRoot /home/user1/public_html

Servername user1.co.kr </VirtualHost>

 

cd / etc/ httpd/ conf.d / vhost.conf

 

2. /etc/named.rfc1912.zones 도메인 추가

 

 

 

 

3. vi /user1.co.kr.zone 도메인 환경 설정 입력

 

 

  1. systmectl restart named/httpd
  2. 재시작 안 될 시 도메인 환경 설정 파일 삭제 후 재생성 시 확인 가능
    1. user1.co.kr 접속 확인
     

user1.co.kr 접속 확인

-----------------------------------

 

<IfModule dir_module>

DirectoryIndex index.html index.php

</IfModule>

/// 순서대로 열람 진행

html → php

 

'IT 엔지니어 > Linux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DNS sub  (0) 2025.03.17
Linux 가상호스팅 웹서버  (0) 2025.03.15
Linux PXE 서버  (0) 2025.03.10
DHCP 서버  (0) 2025.03.06
리눅스 FTP part 3  (0) 202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