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엔지니어/Linux server

Linux 사용자 관리

[사용자 관리]

 

1. 사용자 계정 관련 파일 및 디렉터리

  1. /etc/passwd - 사용자 정보[계정명][패스워드][UID][GID][comment][사용자 홈디렉터리][셸 종류]
    1. pse:x:1001:1001:[ ]:/home/pse:/bin/bash
  2. /etc/shadow - 패스워드 정보(암호화)[계정명][암호화된 패스워드][패스워드 변경 후 지난 일수][패스워드 최소 변경일][패스워드 최대 유효기간][패스워드 만료 경고일][패스워드 만료 후 비활성화 기간][계정만료일]
    1. pse:$6$rounds=100000**$h6**gc$aMG:20108:0:99999:7:[ ~ ] :[ ] :
      • $6 : Hash Type ( $1 : MD5 $2:Blowfish $5:SHA-256 $6:SHA-512
      • $rounds=100000 : Salt 값
      • $h6 : 해쉬 비밀번호 + Salt
      • *** [root@localhost home]# pwun conv - 해쉬타입 확인 가능 ***
    1. /etc/group - 그룹정보
    2. pse : x : 1001 : [ ]
    3. [그룹명][패스워드][GID][MEMBER]
  3. cd /var/mail/계정 메일 박스 - 해당 사용자메일 박스
  4. cd /home/계정 디렉터리 - 해당 계정의 사용자 홈디렉터리

**참고사항

  1. /etc/skel
    • 계정 생성 후 /home/pse ls -la 자동복사 /// 계정 생성 자동 복사되므로 희망 파일에서도 확인 가능
    • rw-r--r--. 1 pse pse 18 4월 30 2024 .bash_logout
    • -rw-r--r--. 1 pse pse 141 4월 30 2024 .bash_profile
    • -rw-r--r--. 1 pse pse 492 4월 30 2024 .bashrc
  2. 사용자 패스워드 정보 정의
    1. vi /etc/login.defs
    2. PASS_MAX_DAYS 99 PASS_MIN_DAYS 1 PASS_WARN_AGE 100
  3. [root@localhost ~]# vi /etc/gdm/custom.conf - 사용자 자동로그인 설정

 

2. 사용자 계정 생성/수정/삭제/패스워드 변경

  1. 사용자 계정 생성
    1. [root@localhost ~]# useradd rocky
    1. 패스워드 변경패스워드 정보 변경
      1. [root@localhost ~]# passwd rocky
      2. chage [옵션][설정값][계정명]
    2. option
      1. -m : 최소 변경일
      2. -W: 패스워드 만료 경고일
      3. -E: 계정 만료일
      4. -I 대문자 i : 암호 비활성화 기간
      5. -M : 최대 유효기간
      6. -l : 사용자 패스워드 정보 확인
      7. [root@localhost home]# chage -E -1 pse /// 계정 만료 무한대  
      8. [root@localhost home]# passwd -S pse pse PS 2025-01-20 1 1 1 2
        1. (비밀번호가 설정되어있습니다, SHA512 암호화. )
    3. 사용자 계정 삭제
      1. userdel rocky ///// 유저명만 삭제
      2. usersdel -r rocky
      3. -r 옵션 필수 // 모든 디렉터리 삭제
    4. 일시 중지 계정 잠금
      1. [root@localhost ~]# passswd -l /u [ pse ]  //// lock or unlock [유저명]
    5. SHell ( 계정 잠금 스크립트 )
      1. pse:x:1000:1000::/home/pse:/bin/false
      2. pse:x:1000:1000::/home/pse:/sbin/nologin

 

 

[vi 편집기로만 korea 계정 생성 후 로그인 실습] ////권한 재설정 필요 but 계정 관련 이해도 상승

 

1-5 마을 방문 직접 입력 후

1. /etc/passwd

2. /etc/shadow

3. /etc/group

4. /home/ 본인디렉토리

5. /var/mail

 

1. skel 지정 파일 복사 필요

[root@localhost skel]# cp .bash* and .mozilla /home/korea

drwxr-xr-x. 3 root root 78 1월 20 16:36 .

drwxr-xr-x. 5 root root 42 1월 20 16:10 ..

-rw-r--r--. 1 root root 18 1월 20 16:35 .bash_logout

-rw-r--r--. 1 root root 141 1월 20 16:35 .bash_profile

-rw-r--r--. 1 root root 492 1월 20 16:35 .bashrc

drwxr-xr-x. 4 root root 39 1월 20 16:36 .mozilla

 

 

3. 사용자 정보 변경 

 

usermod [옵션] [설정값] [계정명]

 

<옵션>

-l : 계정명 변경

-u : UID 변경

-g ; GID

-c: 코멘트 ‘” ” 으로 변경 빈칸 설정

-d : 사용자 홈 디렉터리

-s : 셸 변경 // usermod -s /bin/bash

'IT 엔지니어 > Linux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Server]  (0) 2025.02.13
리눅스 소유권 /허가권  (0) 2025.02.12
RAID 실습  (0) 2025.02.10
리눅스 그룹 사용자  (0) 2025.02.09
리눅스 quota  (1) 202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