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엔지니어/네트워크

VLAN / VTP

[ VTP(VLAN Trunking Protocol) ]

  • Cisco 전용 프로토콜 (VLAN 정보 동기화)
  • Switch는 기본적으로 Server 모드 (server모드로 사용할 경우 따로 설정할 필요 없음)
  • Switch 모드 : Server, Transparent, Client
  • VLAN 정보 공유 프로토콜

조건 : 프로토콜(=패킷 장치 번호 2960 등) 버전 일치, VTP 도메인 일치, 패스워드 일치

  • Server mode

VLAN 생성/수정/삭제/ 자신의 VLAN 정보를 다른 Client들에게 전송/제공 (남의 정보를 받아오진 않음)

  • Client mode

Server의 VLAN 정보 수신, VLAN 생성/수정/삭제 불가능

  • Transparent mode

(=투명모드, 스쳐 지나감)

VLAN 생성/수정/삭제 가능,  자신의 VLAN 정보만  사용 가능,

다른 장비에서 생성된 다른 VLAN 정보를 전달, Server VLAN 정보를 받아쓰지 않음

 

<Server>

Switch(config)#vtp domain [cisco] /// 도메인 동일해야 동일한 VLAN 정보 공유 가능 // 서버모드 기본값

Switch(config)#vtp password 1234

Switch(config)#int fa0/1

Switch(config-if)#sw mo tr

<Client>

Switch(config)#vtp mode client

Switch(config)#vtp domain cisco

Switch(config)#vtp password 1234

<Transparent>

Switch(config)#vtp mode transparent

Switch(config)#vtp domain cisco

Switch(config)#vtp password 1234

  • VTP 도메인은 동일한 이름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범위를 의미하며, 동일한 도메인 및 비밀번호 필요
  • Server 모드에서 변경된 정보는 Client 모드에서 자동으로 동기화
  • Transparent 모드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므로 영향을 받지 않음
  • VTP는 효율적이지만 잘못 설정되면 네트워크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신중히 구성해야 함

ROOT BRIDGE

[ Root Bridge ]

  • Switch가 두 대 이상이면 하나는 Root Bridge 되어야 함 (반장)
  • Default Priority 값 : 32768
    • Priority 값 조정
      • Switch(config)#spanning-tree vlan 1 priority 4096
    • 되돌리기
      • Switch(config)#spanning-tree vlan 1 priority 32768
  • 숫자는 4096 단위로 조정 가능, 숫자 낮을수록 권한 높아짐 (가장 작은 숫자가 Root Bridge) 1순위 = 1등
  • Root Bridge가 삭제되면 그다음으로 낮은 숫자가 자동으로 Root Bridge가 됨

< Root bridge 확인 명령어 >

Switch(config)#do sh span

This bridge is the root


< CHECK POINT! >

✔ Root Bridge는 STP(Spanning Tree Protocol)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의 중심 역할을 하는 가장 중요한 Switch입니다.

✔ 네트워크 내에서 Loop를 방지하고 트래픽 흐름을 최적화하기 위해 STP 알고리즘이 Root Bridge를 선택합니다.


ETHERCHANNEL

[ EtherChannel 구성 ]

  • 이중화 및 대역폭 확장
  • 케이블의 그룹화
  • 최대 6개까지 그룹화 가능
  • 1개 그룹은 최대 8개의 포트를 묶어 최대 6개까지 만들 수 있음

< EtherChannel 확인 명령어 >

Switch(config)#do show therchannel

[ EtherChannel ]

1) 첫 번째 Switch 설정

Switch(config)# int range fa0/[묶을 포트 범위] : 최대 8개까지 가능 (할당할 포트 선택)

Switch(config-if-range)# switchport mode trunk : 해당 그룹 트렁킹 (할당할 포트를 트렁크 포트로 변환)

Switch(config-if-range)# channel-group [1] mode on : [숫자] 그룹으로 그룹화 및 모드 온

2) 두 번째 Switch 설정

Switch(config)# int range fa0/[묶을 포트 범위] : 최대 8개까지 가능 (할당할 포트 선택)

Switch(config-if-range)# switchport mode trunk : 해당 그룹 트렁킹 (할당할 포트를 트렁크 포트로 변환)

Switch(config-if-range)# channel-group [1] mode on : [숫자] 그룹으로 그룹화 및 모드 온

[ Root bridge 선출 ]

  • MAC Address가 수치적으로 낮으면 Root Bridge가 된다
  •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내에서 자동으로 지정된다
  •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자신이 원하는 Switch를 Root Bridge로 지정할 수 있다

< Root Bridge 확인 명령어 >

Switch(config)# do show spanning-tree :

Switch(config)#spanning-tree vlan 1 priority ?

<0-61440> bridge priority in increments of 4096 // 원위치 32768(Bridge 디폴트 값)

 

Switch(config)#spanning-tree vlan 1 priority 0

메인(반장), 조정 시 4096단위로 조정

 

Switch(config)#spanning-tree vlan 1 priority 4096

서브(부반장)

root 자동으로 조절

Switch(config)#spanning-tree vlan 1 root ?

 

primary Configure this switch as primary root for this spanning tree

secondary Configure switch as secondary root

 

Switch(config)#spanning-tree vlan 1 root primary : 우선 순위 (메인) ///  seconfary : 차선 (서브)

 

'IT 엔지니어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ing Protocol  (0) 2025.04.30
VLAN  (0) 2025.04.29
Switch Looping (STP/RSTP)  (0) 2025.04.28
Switch  (0) 2025.04.27
Network  (0)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