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엔지니어/자격증

네트워크 관리사 2급 2024년 05월 19일 기출문제

0 - Echo Reply

3 - Destination unreachable

4 - Source quench

5 - Redirect

8 - Echo request

11 - Time exceeded

30 - Traceroute

 

 

TFTP UDP 이용 / 69번포트

 

 

 

( star) 토폴로지는 각 단말 장치가 중앙 허브 (혹은 스위치)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point to point 방식

즉 하나의 단말 장치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단말 장치들 간의 통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Ethernet 10BASE-T < Fast Ethernet 100BASE-T

 


 

패킷 교환망

연결설정에 따라 가상회선과 데이터그램으로 분류

메시지를 보다 짧은 길이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한다.

블록킹 현상이 없다.


 

 

데이터 흐름 제어 

 

Stop and Wait: 송신 측이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한 후, 수신 측의 확인 응답(ACK)를 기다리는 방식입니다.
XON/XOFF: 소프트웨어 흐름 제어 방식으로, 수신 측에서 전송을 시작하거나 중지시키기 위해 XON과 XOFF 신호를 사용합니다.
Sliding Window: 송신 측이 여러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하고, 수신 측이 확인 응답을 통해 수신 상태를 알려주는 방식입니다.

 


 

Loop/Echo는 네트워크 테스트나 디버깅에서 사용되는 방법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 측에서 다시 송신 측으로 반송되는 것을 의미하며

데이터 전송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포그 컴퓨팅 (Fog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개념으로,

데이터가 생성되는 디바이스 가까운 곳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아키텍처입니다.

데이터 전송 지연 감소 

실시간 데이터 처리 가능

데이터가 원거리 데이터 센터로 보내지기 전에

로컬에서 처리되어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고 효율성을 높입니다.

 

현장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원거리의 데이터 센터로 보내는 대신

데이터 발생 지점 주변에서 선별적으로 분석, 활용 가능한 컴퓨팅 아키텍처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W로 개발된 네트워크 기능들의 집합

물리적 H/W 자원, 가상화 지원기능 및 VNF(Virtualized Network Functions) 실행지원

기존의 하드웨어 기반 네트워크 장비에서 수행되던 기능들을 가상화

가상화 기술 기반으로 통신망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 내 여러 기능들을 분리시켜 S/W로 제어 및 관리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이다.

 

 


 IEEE 802.11 무선랜(LAN) 기술표준

OFDM 방식 이용 최소 6Mbps에서 최대 54Mbps까지 데이터 전송 가능

기존 2.4GHz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LAN의 낮은 전송률(1Mbps와 2Mbps의 전송률)을 보완한 규격

2.4GHz 대역(IEEE 802.11b에서 사용하는 대역)에서 OFDM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의 IEEE 802.11b와 공존할 수 있으면서 IEEE 802.11a의 높은 전송률 가능

 802.11n을 기반으로 40GHz의 밀리미터파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802.11 네트워크에 대한 새로운 물리 계층을 정의한다.

 

 

 

 

 

listen-on port 53 { any; }: 모든 IPv4 주소에서 포트 53을 수신합니다.
listen-on-v6 port 53 { ::1; }: IPv6 주소 ::1에서 포트 53을 수신합니다.
allow-query { any; }: 모든 IP 주소에서 오는 쿼리를 허용합니다.
masterfile-format text;: 슬레이브 서버에서 존 파일을 텍스트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일반 사용자 계정에서 Apache 웹서버를 실행할 때, 실행 명령어 앞에 ′sudo′를 추가한다.

 

 

 

 

> overwrite
>> apppend

 

< redirection : 파일 내용을 명령어의 입력으로 사용
<< heredoc(here document)

 

 

 


 

 

 

iptables -A INPUT -p tcp --dport 23 -j DROP

 

TELNET / TCP

 

 

 


 

runlevel 0: 시스템 종료(runlevel 0은 시스템을 안전하게 종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runlevel 3: 다중 사용자 모드 (네트워크 활성화), 텍스트 3 모드로 부팅합니다. GUI는 기본적으로 시작되지 않습니다.

runlevel 5: 다중 사용자 모드 (네트워크 활성화) 및 GUI 5 모드로 부팅합니다. 로그인 시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제공됩니다.

runlevel 6: 시스템 재부팅(runlevel 6은 시스템을 안전하게 재부팅하는 데 사용됩니다

 

 


 

 

 

DF Flag = 데이터 구별
Offset = 데이터 상대적 위치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 Layer  3

 

 

 

 

SNMP는 일반적으로 UDP(User Datagram Protocol)를 사용합니다.

네트워크 관리 트래픽이 비교적 간단하고,

일부 패킷 손실 발생 시 큰 문제 없음

 

 

 

TCP 계층과 IP 계층 둘 다 체크섬 계산 및 검증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123번 포트는 *NTP(Network Time Protocol)

 

 

 

 

 

CSMA/CD

1.채널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 채널이 사용 중인지 확인합니다.
2.전송: 채널이 사용 중이지 않으면 데이터 전송을 시작합니다.
3.충돌 감지: 두 노드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하고, 전송이 중단됩니다.
4.재전송: 충돌 발생 시 일정 시간 랜덤하게 대기한 후 재전송합니다.

 

 

 

열려있는 port 정보를 확인

netstat -> SS

 

 

 

/boot: 시스템 부팅에 필요한 커널 및 초기 램디스크 이미지 등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터리입

/etc: 시스템 설정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입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설정, 사용자 계정 정보 등 위치.

/proc: 가상 파일시스템으로 시스템 및 프로세스H/W,  정보를 제공하는 디렉터리

/lib: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

 

 

 

 

 

L2 Switch: 데이터 프레임을 MAC 주소 기반으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
IP 공유기 (Router): 여러 장치가 인터넷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장비.
UPS: 정전 시에도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POE Switch: 전원부 설치 없이 데이터와 전원을 동시에 UTP 케이블을 통해 전달하는 네트워크 장비. AP/CCTV 사용